동아광장/이정동]집단적, 자발적 기억상실증은 이제 그만
동아일보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80713/91033915/1#csidx87f0b3f073284af8752ab4e88c5fd51
설계 잘못을 벌주는 분위기에선 설계 역량 향상은 불가능하다
정권 바뀔 때마다 전임자 벌주니 땜질처방, 위원회 남발되는 것
政府부터 ‘정책실패 박람회’ 열라
이정동 객원논설위원·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
올 4월 중순, 한 대기업에서 실패 사례 공모전을 한다는 흥미로운 기사가 눈길을 끌었다.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 좋았을 컬’이라는 구호를 내걸었다.
컬처(culture)의 ‘컬’자를 문장 끝에 붙인 것이다.
실패 공유의 문화를 만들어 보겠다는 의지가 단박에 읽힌다.
정부도 나섰다.
만연한 실패 트라우마 극복을 목표로
올 9월 행정안전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실패박람회’가 대표적인 예다.
창업가들의 실패 사례도 공유하고 재도전의 기회도 돕자는 좋은 취지다.
평소 시행착오의 축적을 강조해 온 사람으로서 민간 기업의 긍정적인 움직임도,
이를 지원하는 정부의 노력도 반갑기 짝이 없다.
그러나 민간이 아니라 정부 측을 바라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정책은 정부가 내놓는 상품이다.
신제품에 정답이 없듯이 유일한 최적의 정책도 당연히 없다.
정책 처방을 요구하는 상황 자체가 매번 다를 뿐만 아니라 끊임없이 변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부 정책에는 그 어느 제품보다 철저하게 ‘빠른 실패(fast fail)’ 정신이 필요하다.
일단 정책 아이디어를 도전적으로 제시하고,
시행착오 결과를 솔직하게 피드백하고, 빠르게 업데이트해야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재의 정부 정책 상황은 빠른 시행착오의 축적과는 너무 거리가 멀다.
멀리 볼 것도 없다.
신기술과 관련한 각종 규제정책은 이해집단의 장벽에 막혀 사실상 정책 공백 상태가 된 지 수년째다.
님비 현상과 케미포비아 등 국민의 삶과 직결된 문제가 산적해 있고,
고령화나 연금 문제 등 날로 심각성을 더해 가는 사회문제가 도처에 있지만
선제적인 정책 대응은 찾아보기 힘들다. 그 이유를 최근 현장을 방문했던 한 기업에서 알 수 있었다.
어느 날 설계 부서에서 생산 부서로 설계도를 전달했다.
한참 시간이 지난 뒤 설계 도면에서 문제가 있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생산 현장을 확인해 본 결과 놀랍게도 생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데 그 뒷이야기가 재미있다.
당연히 생산 현장에서는 적용 즉시 설계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희한하게도 보고를 받은 생산 책임자의 지시는 ‘융통성 있게 빨리 해결하라’는 것이었다.
눈치 빠른 임기응변 덕택에 문제는 해결됐지만
정작 피드백을 제대로 받지 못한 설계 부서의 역량은 조금도 늘지 않았다.
생산 책임자가 땜질식 해결책을 지시한 이유는 이전의 트라우마 때문이었다.
몇 차례 유사한 일이 있었고, 정상적으로 피드백을 했지만,
그때마다 책임 소재를 가려 누군가 징계를 받고 나서야 문제가 종결되었다.
그 무시무시한 기억이 조직 전체에 흉터처럼 남았다.
그 후 문제가 있을 때마다 융통성 있게 해결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문화가 자리 잡았다.
그 트라우마의 부작용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시행착오가 있을 법한 도전적 설계 프로젝트에는 아무도 나서지 않고
운 나쁘게 맡게 되더라도 최대한 안전하게 벤치마킹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인 문화가 되었다.
시행착오를 잘못된 실패로 규정하고 벌주는 살벌한 분위기에서는
누구도 책임지고 먼저 아이디어를 내는 사람이 없고,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도, 피드백 하는 사람도 없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사례였다.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80713/91033915/1#csidx0db799a6730411d895b6a170c1d75a0
책소개 / 축적의 시간 1 . 축적의 길 2 - 이정동 저
우리 산업의 당면 문제를 진단하기 위해
객관적이면서 전문적인 의견을 줄 수 있는 26명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교수들을 멘토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모두 국내외 학계를 리드해 왔고, 활발한 산학협력 연구로 산업계의 현실에 대해
누구보다 많은 통찰을 제공해줄 수 있는 우리나라의 멘토들이다.
기업의 리더들에 비해 이번 작업에 참여한 멘토들은 무엇보다
특정 기업의 이해와 전략에 얽매이지 않고,
객관적으로 문제점을 이야기해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26명의 멘토들에게 다음과 같은 6가지의 공통 질문을 중심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인터뷰에서 산업을 가로지르는 공통 키워드를 추출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3. 생각하는 여유 > korea vision21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구 보수 죄파골통을 극복하기 위해. 자유주의 우파 진보는 우파 5.18 혁명정신으로 전투해야 한다. (0) | 2018.07.27 |
---|---|
김병준 위원장 영입이후 발표된 정당지지율 조사에서 한국당의 지지율은 더 하락. 큰 차이는 아니지만 정의당에 이어 3등이다.그러나 성공을 기원한다 (0) | 2018.07.25 |
김정민 박사-중국을 연구하다 알게된, 김대중, 노무현 정권 그리고 중국.. ..싸그리 중국과 관련이 있네(34분) (0) | 2018.07.13 |
김정민박사는 프리메이슨. 21세기 동북아시아, 허브 중심지,한반도, 만주 새시대의 시작(동영상 20분) (0) | 2018.07.13 |
김정민의 그레이트게임 제 4회 - 난민과 이민자 문제 2018년 7월6일 .전자개표기 오류. (0) | 2018.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