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생각하는 여유/주식투자정보

초단타매매~2010년 5월 6일 미국 다우지수가 특별한 악재도 없이 거래 종료를 15분 남기고 순식간에 998.5포인트(약 9%) 폭락한 사건이 대표적~

언제나오복의향기 2019. 6. 17. 06:00

한국만 '초단타매매' 無대책·無방비 상태

한국경제  입력2019.06.10 17:33


'양날의 칼' 초단타매매

1. 시장 유동성 공급 순기능 있지만
2. 2010년5월6일 다우 9% 폭락 주범

美· EU· 日 - 모두 거래자 의무 강화



글로벌 증시에서 초단타매매(고빈도매매) 비중은 갈수록 늘고 있다.
미국 등 거래세가 없는 선진 시장에선
고빈도매매 거래 비중이 50%를 훌쩍 넘는다.

고빈도매매는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해주고, 불합리한 가격 괴리를 막아주는 순기능이 있어 각국은
대체거래소(ATS)를 통해 적극 유도하기도 한다.

하지만 예기치 않게 시장에 충격을 주는 사태가 발생하는 부작용도 나타난다.
2010년 5월 6일 미국 다우지수가 특별한 악재도 없이
거래 종료를 15분 남기고
순식간에 998.5포인트(약 9%) 폭락한 사건이 대표적이다.

이를 ‘플래시 크래시(flash crash)’라고 한다. 모두 알고리즘에 기반한 고빈도매매가 원인으로 지목됐고,
일부에서는 불공정거래 혐의가 불거졌다.

해외 주요국에선 이런 부작용을 막기 위해 고빈도매매 규제 방안을 고민해왔다.
1.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2010년 플래시 크래시 사태를 계기로 11월 고빈도매매 규제장치를 마련했다.
2. 유럽연합(EU)은 더 강력한 통제권한을 갖고 있다.
2016년 개정된 유럽증권시장청(ESMA)의 ‘금융상품투자지침Ⅱ(MiFID Ⅱ)’는
고빈도매매 전략을 쓰는 거래자에게 주문과 취소 내역을 보존할 의무를 부과했다.
일정한 유형의 거래를 제한할 수 있는 권한도 갖췄다.
3. 일본은 고빈도 거래자들의 자율규제 기구를 통해 관리하고 있다.


4. 한국에선 고빈도매매 관련 대응책이 전혀 없어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김준석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국 주식시장에서도
거래세가 낮아지고 ATS도 생길 예정이어서
고빈도매매 비중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진형/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





국기에 대한 맹세-1974년


: 나는 자랑스런 태극기 앞에

자유대한민국의 무궁한 영광을 위하여

몸과 마음을 바쳐

충성을 다할 것을 굳게 다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