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이런저런 이야기/2. 인물여담

오복을 위한 음양오행배우기.스크랩동영상

언제나오복의향기 2013. 9. 15. 11:40

 

 

 

음양 오행 (陰陽,五行-木火土金水.)

 

음양은 서로 대조되는 기운을 의미한다.

       음은 물. 여자. 어둠, 달,    고요함.   산,   낮음

       양은 불, 남자, 밝음, 태양, 움직임,호수,    높음 등

 

오행은 다섯 가지 기운으로 목화토금수로 구성된다

각성질은  목,나무, 인仁- 착하고 어질다

              화, 불,   예禮- 예의바르고, 적극적이다.

              토, 흙,   신信- 믿음직스럽고 끈기있다.

              금, 쇠,   의義- 의리가 있고 절제력이 있다

              수, 물,   지智- 총명하고 지혜롭다.

(출처,이영돈PD의 운명,논리로 푼다.이영돈저,동아일보사.2013.4.22발행.24쪽)

 

 음양오행의 개념은 꼭 철학, 명리와 관계하지 않더라도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쓸수 있는 개념이다.  이개념을 이해하고 있으면 철학원에서 상담을 할때도 이해가 잘돼, 

맹목적인 믿음에 갇히지 않는다.

 

여기 오복철학관의 오복도 다섯 가지의 행복의 요소를 조화한다는 의미가 들어 있다.

1수壽,/ 2부富, /3강녕康寧, /4유호덕攸好悳, /5고종명 考終命

이 다섯가지 행복, 1오래 살고, 2풍요로운 부자가 되고, 3몸과 마음이 편안하고,

4많이 베풀어 덕스럽다는 명예를 얻고, 5행복하게 한평생를 보내는 것이 오복이다.

 

그런데 이 다섯 가지는 서로 잘 조화로워야지

어느 것은 풍족하고, 어느 한 가지라도 너무 부족하다면 좋다고 볼수 없다.

예로 돈은 많은데 고질병에 걸려 단명을 하는 것, 명성 높으나 너무 가난한 것,

장수하여 오래 사는데 몸이 항상 아프고, 마음이 편안하지않으면 행복하지않다.

 

오복, 다섯가지를   조화롭게 갖추었을 때 진정 행복할 것이다.

그래서 그오복을 나누고 싶어 오복철학원이라 이름했다. 

 

여기 있는 오복을 나누어 드리니 마음껏 가져가세요. 

  댕큐 ~~  Be Happy....

 

 

음양 오행(陰陽,五行-木火土金水.)

 

음양은 서로 대조되는 기운을 의미한다.

       음은 물. 여자. 어둠, 달,    고요함.   산,   낮음

       양은 불, 남자, 밝음, 태양, 움직임,호수,    높음 등

 

오행은 다섯 가지 기운으로 목화토금수을 구성된다

각성질은  목,나무, 인仁- 착하고 어질다

              화, 불,   예禮- 예의바르고, 적극적이다.

              토, 흙,   신信- 믿음직스럽고 끈기있다.

              금, 쇠,   의義- 의리가 있고 절제력이 있다

              수, 물,   지智- 총명하고 지혜롭다.

(출처,이영돈PD의 운명, 논리로 푼다. 이영돈지음,동아일보사.2013.4.22발행.24쪽)

 

음양오행의 개념은 꼭 철학, 명리가 아니더라도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쓸수 있는 개념이다.

이개념을 이해하고 있으면 철학원에서 상담을 할때도 이해가 잘되며,맹목적 믿음에 갇히지 않는다.

여기 오복철학관의 오복도 다섯 가지의 행복의 요소를 조화한다는 의미가 들어 있다.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悳, /고종명 考終命

이 다섯가지 행복, 오래 살고, 풍요로운 부자가 되고, 몸과 마음이 편안하고,

많이 베풀어 덕스럽다는 명예를 얻고, 행복하게 한평생를 보내는 것이 오복이다.

그런데 이 다섯 가지는 서로 잘 조화로워야지 어느 것은 풍족하고, 어느 한 가지가 너무 부족하다면 좋다고 볼수 없다.

예로 돈은 많은데 고질병에 걸려 단명을 하는 것, 명성은 높으나 너무 가난한 것,

오래 장수하는데 몸이 항상 아프고,마음이 편안하지않는 것이 행복하지 않을 것이다.

오복을   조화롭게 갖추었을 때 진정 행복할 것이다.

그래서 그오복을 나누고 싶어 오복철학원이라 이름했다. 

 

 

 

 

음양오행배우기 사이트(아래주소클릭)

 http://www.0487.co.kr/course/course.php?mCode=002

 

첨부파일 오복작명철학관.swf
 
오복작명철학관로고.swf
0.03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