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0대 건설사들의 아파트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돈을 벌지 못하는 지경이다.
이미 따놓은 공사로 몇 년간 먹고는 살겠지만,
문제는 그 다음이다.(시한은 이제 몇년 정도~)
결국 부동산 집값은 지금이 천정이라는 말.
거기에 가계부채 1500조원..
빚은 갚아야지 결코 짊어지고 갈 수는 없는 것이라 생각된다.
-----------------------------
홍길용의 화식열전 2018.4.6
주택·건축비중 54%로 뛰어
해외적자 메우고 남아돌아
택지공급 급감 미래
먹구름
10대 건설사들의 아파트 의존율이 ‘쏠림’ 수준을 넘어섰다.
아파트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돈을 벌지 못하는 지경이다.
정부는 집값 잡는 규제의 칼날을 벼리고 있다.
신규택지 공급은 급감했고, 재건축 요건도 까다로워졌다.
이미 따놓은 공사로 몇 년간 먹고는 살겠지만, 문제는 그 다음이다.
삼성물산을 제외한 국내
10대 건설사들의 지난해 매출을 분석해봤다.
이들은 주택·건축부문에서만 46조5978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전년의 37조4462억원 대비 대비 무려 24%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전체 매출(86조원)이 전년(84조원)과 비슷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얼마나 아파트에 몰두 했는 지 알 수
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4.1%에 달했다.
지난해 이 수치는 44.3%였다.
10대 건설사들의 아파트 의존율이 (74.7%), 현대산업개발(72.5%), 대우(60.4%)가 특히 높았다.
현대엔지니어링(42.4%), SK건설(24.5%)이 가장 낮았다.
해외건설 종가인
현대도 전년 39%에서 48.5%로 급증했다.
이익은 더 심각하다.
부문별 영업이익을 공개한 6개사는
주택·건축 부문 비중(61%)이 비교적 높은 곳들이다.
이 부문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50% 늘어난 3조6194억원에 달했다.
비주택 부문에서는 1조743억원의 적자를 봤다.
대우, 대림, GS가 해외부문에서 큰 적자를 본 탓이다.
그나마 전년대비 비주택 적자는 절반 가량 줄었다.
매출이익으로 공개한
4개사(현대, 현대엔지니어링, SK, 한화)는 상대적으로 주택·건축부문 비중(43%) 이 낮은 곳이다.
그럼에도 이익이 2조3030억원으로 비주택(9487억원)의 2배를 넘었다.
전년에는 주택·건축 매출이익(1조8008억원)이 비주택(1조7652억원) 보다 1000억원 차이밖에 나지
않았다,
주택·건축 부문의 급성장에는 ‘수익성’이 자리잡고 있다.
관급 및 토목은 원가율이 높고,
해외수주 프로젝트는 공사가 까다롭다.
하지만 아파트는 ‘일단 지으면 팔리는’ 만큼 돈 벌기가 가장 쉽다.
영업이익을 발표한 6개사의 주택·건축 부문 이익률은 11.2%다.
전년의 9.5%보다 개선됐다.
매출이익으로 발표한 4개사는 16.2%다.
역시 전년(14.6%)대비 나아진 수치다.
주택부문 쏠림은
심해진
반면 해외부문은 더 위축됐다.
지난해 10대 건설사의 국내매출은 62조3645억원으로 총매출의 72.5%를 차지했다.
전년 이 수치는 63.6%였다.
해외부문 매출이 30조7174억원에서 23조7079억원으로 쪼그라든 때문이다.
해외부문은 대부분 비주택이다.
적자로
추정된다.
kyho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