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뭣이 중헌디?… 치킨도 괜찮여 가족이 화목해야지”
동아일보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East/MainNews/3/all/20180330/89375567/1#csidx7bc2d83873d0871afac3e8055333eb4
[새로 쓰는 우리 예절 新禮記(예기)]
<1> 저승에서 온 조상님 편지
26년 제사… 맏며느리의 하소연
하늘나라 시증조모의 조언
《‘예기(禮記)’는 중국의 고대 유교 경전입니다.
다양한 일상생활 속 예절을 다루고 있죠.
한국의 전통 예법 곳곳에 반영돼 아직까지도 우리에게 적잖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로부터 수천 년이 흐른 지금, 때로 그 예법은 현대와 맞지 않아 오히려 갈등을 일으키죠.
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예법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신(新)예기’ 첫 회는 한국인의 명절 스트레스 주범인 차례 및 제사에 대해 다룹니다.
죽은 조상님 모시다가 산 자손들 싸움난다는 제사. 조상을 기리면서도 가족의 화합을 도모할 방법은 없을까요.》
1
■ 26년 제사 맏며느리의 하소연
얼굴도 모르는 남편의 조상님들. 4월 6일 한식이 또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네요.
제게 한식이 왔다는 건 ‘시제(時祭)’ 제사상을 또 준비해야 한단 의미죠.
지난 설 명절 차례상 차리다 삐끗한 허리가 아직도 시큰거리는데….
돌아서면 또 돌아오고, 눈을 뜨면 어느새 코앞인 제사가 이젠 정말 신물 납니다.
26년째니까요. 조금만 지나면 제가 제사상을 받을 판이네요.
지난 시간 저는 웃음과 공경의 마음보다 눈물과 원망의 마음으로 억지 제사를 준비했습니다.
요즘은 기독교다 뭐다 해서 아예 제사를 안 지내는 집도 많건만,
아버님은 “기일 제사는 4대까지 지내는 게 기본이고,
한식날 시제를 올리지 않는 집은 뼈대 없는 집안”이라며
맏며느리인 제게 매년 기제사 8번, 설·추석·시제 등 12번의 제사를 맡기셨죠.
남편 집안 뼈대를 세우느라 제 뼈는 녹아내렸습니다.
3년 전 무릎 수술을 한 다음 달에도 제사상을 차리라고 했을 땐
20년 넘게 쌓인 서러움이 터져 차라리 남편과 헤어지는 게 낫겠다는 생각까지 들더군요.
아가씨는 여자라고 빠지고, 서방님과 동서는 직장일이 바쁘다고 빠지고….
맏며느리의 숙명이라지만 가끔 와서 차려놓은 밥만 먹고 가는 형제들을 볼 때면 속에서 천불이 납니다.
심지어 아버님은 “제사엔 여자가 나서는 게 아니다”라며 정작 제사를 올릴 때는 저를 뒤로 물러나게 하셨죠.
다음 주말이면 저는 또 묘소 끄트머리에 없는 듯 서 있을 겁니다.
이 집에서 전 가족인가요, 식모인가요. 이런 전통, 이제 저도 더는 싫습니다.
2
■ 하늘나라 시증조모의 조언
아가.
우릴 원망하는 증손자 매늘아가.
나는 저승에 사는, 니 시아부지의 할매 되는 사람이다.
니가 내가 사는 신줏단지를 하도 째려봐싸서 니 꿈속을 빌려 너에게 편지를 쓴다.
니가 그렇게 화를 내싸니 니 밥을 받아먹는 내 맴도 편치가 않다.
지난 설에 얻어먹은 제삿밥도 여즉 명치끝에 걸려있구나.
니가 일생 이 집안의 젯밥을 차리느라 고생한 것을 누구보다 내가 안다.
나도 그렇게 살았응게. 죽고 보니 나도 내 인생이 억울혀.
그래도 우리 때는 매느리만 아홉이고 식구도 많아 서로 도와감서 했다만,
시방은 너 혼자 20년 넘게 이게 먼 고생이다냐.
내가 저승에 와서 다른 집 자손들 사는 것을 보니 우리 집이 너무 고리타분혀.
내가 여그서 들었다만 요즘 젊은 사람들 말로 ‘참말로 조상복 받은 자손들은 제삿날 다 해외여행 가 있다’는 말이 있다믄서.
나는 너도 그렇게 한번 살아봤음 쓰것다.
그래야 조상복 받았다 할 것 아니냐. 내 신줏단지만 챙겨가믄 내가 귀신같이 알고 따라갈랑께.
거기 가서 느그들이 먹고자픈 현지 음식으로 제사상 차리고 즐겁게 먹어.
나도 덕분에 해외여행하면 을매나 좋냐.
내가 엊그저께 저승 경로당에서 김 씨 영감님을 만났는디, 그 양반의 손주가 그런다드만.
그 집은 4남 1녀인디 몇 년 전부터 부모, 조부모 제사를 1년에 한 번 어버이날이 있는 주 토요일로 합쳤단다.
2년 전부터는 다 같이 여행을 가서 거기서 제사를 지낸다는디 그렇게 화목할 수가 없다드만.
작년에는 제주도로 놀러가 제사를 지냈는디 덕분에
김 씨도 젯밥으로 전복부터 활어회, 오메기떡, 치킨, 아이스크림 케이크까지 별거 별거 다 먹어봤다고 죙일 자랑이여.
너도 그렇게 해부러라. 뭣이 중헌디?
그라고 요새는 종갓집들도 겁나게 간단하게 제사 지낸다 안 허냐.
1000원짜리에 그려진 퇴계 이황 선생 알지?
얼마 전 그 양반을 뵀는디 그 집이 종갓집이 되다 보니 여자들이 부담시럽다고 시집을 안 온다고 하더라고.
그 바람에 종가에서 제사를 엄청 쭐였다 하드만.
‘간소하게 차려라’가 그 집안 어른들의 가르침이란다.
이러코롬 설명을 했는디도 느그 시아부지가 계속 제사 타령을 하믄 “호호, 아버님도 돈을 좀 쓰세요”라고 함 혀봐.
지금 내 옆집에 충남이 고향인 이 씨 영감님이 사는디,
그 집 종친회는 제사 때 자손들 모을라고 묘제에 참석하면 무조건 인당 5만 원을 준다더라.
배 속의 아기까지 1명으로 쳐서 준다드만.
이 씨 영감님 아들은 매번 애들 싹 다 데려가서 수십만 원 벌어온다더라고. 그 말 듣고 우스워서 혼났다야.
솔직헌 얘기로다가 느그 시아부지가 하는 말 중엔 틀린 말도 많어.
원래 우리 제사는 기일 제사만 지내지 명절 제사는 지내는 것이 아니여.
명절에는 그저 묘소에다가 과일 하나 놓고 술 한 잔 올리믄 됐는디,
너도나도 양반이랍시고 경쟁하다 이 모양이 돼 부렀어. 명절 차례만 읎어져도 여자들이 한결 편안해질틴디 말여.
맏매느리니까 니가 다 하란 것두 거시기한 소리지. 내가 여그서 고려 때 조상님도 뵙고 조선 때 조상님도 뵀는디,
오히려 그때는 남녀 할 것 없이 형제간에 돌아가며 제사 지냈다 하더라고.
음식도 혼자 안 허고 형제마다 각자 혀서 한데 모아놓고 제사를 지냈단다.
딸만 있는 집은 사위가 장인 장모 제사 모시고 손녀가 외조부모 제사 지내는 집도 더러 있었다더라.
또 제사 때 너를 뒤로 빠지라 하는 것은 참말로 잘못된 것이여.
원래 종갓집들은 조상한테 올리는 술 석 잔 중 두 번째 잔은 무조건 맏매느리에게 맡긴다드라.
젯밥 차려준 당사자인디 을매나 고맙냐.
며느리 없이 집안이 돌아가냐고. 그것을 모르고 그런 말을 하면 안 되는 거여.
아가. 너도 들었겄지만 지난 추석 때 젊은이들이 ‘제사를 없애자’믄서 청와대에 6121명이나 청원을 했다지?
오죽하믄 자손들이 나라님께 청원을 다 혔겄냐.
내가 지금 꿈속에서 전한 말을 개꿈이라 생각허지 말구 새겨들어.
못 믿겠으믄 저 양반들헌테 물어봐.
:: 도움말 주신 분들 ::
△ 김경선 성균관 석전교육원 교수 △ 김미영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 △ 김병일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 이사장
△ 김시덕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교육과장 △ 김연화 김포시 건강가정지원센터장 △ 김영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안승준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서연구실장 △ 양무석 대전보건대 장례지도과 교수
△ 유건영 웰다잉 강사(‘명절증후군을 없애는 젊은이를 위한 제사법’ 저자) △ 이승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 이욱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구원 △ 이치억 성균관대 초빙교수(퇴계 이황의 17대 종손)
노지현 isityou@donga.com·이미지 기자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East/MainNews/3/all/20180330/89375567/1#csidx4d1a54577f041769df8cb26ae9efc30